안녕하세요. 로디입니다.
제가 키우고 있는 혈앵무! 매일 먹이고 있는 먹이를 소개할까 합니다. 열대어를 키우는 데 있어서 먹이도 중요합니다. 먹이 종류와, 사료크기, 성분 그리고 줘야 하는 양 등에 대해 설명합니다.
저는 다양한 먹이를 구비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다양한 먹이들도 빈통이 될 때까지 다 먹여봤습니다. 처음에는 그냥 아무 먹이나 주었는데 사람도 먹는 음식 따라 몸 형태가 달라지듯 물고기도 마찬가지입니다. 전부 다 소개는 못하고 이 중에서 베스트로 4가지 소개하겠습니다.
테트라 비트
물고기의 먹이의 정석이라 불리는 사료입니다. 관상어 입문자에게는 필수템이죠. 일부를 제외한 물에 가라앉은 침감성 사료입니다. 테트라비트의 사료크기가 모든 사료 크기를 통틀어 제일 흔한 크기입니다. 모래알크기정도입니다.
1g 스푼에 담았을 때 양입니다. 적색을 띠고 있으며 웬만한 관상어들은 한입으로 먹는 크기라 분진도 적은 편입니다.
혈앵무도 비트를 뿌려주면 먹이가 아닌 먹이가 떨어진 주변의 물을 입으로 빨아드리는 것처럼 다 빨아드립니다. 아주 잘 먹습니다.
주원료
생선살, 식물성단백질추출물, 곡물류, 식물성추출물, 연체동물, 갑각류, 이스트, 해조류, 기름, 지방
보증성분
조단백질 47%, 조지방 6.5%, 조섬유 2.0%, 조회분 10.5%, 수분 6.0%
탕가니카 사료
시클리드 먹이입니다. 설명 안내문구에 따르면 시클리드 종들과 해수어육식어류가 아주 좋아하는 식물을 기반으로 한 압출사료이며 식용으로 소화가 잘되는 기물 기반 특수 원료로 인해 수질오염이 최소화된다고 합니다. 테트라비트와 크기는 비슷하나 색상은 진녹색입니다. 미쳐 먹지 못한 먹이가 물에 오랫동안 있어도 분진이 일어나지 않고 형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침감성 사료입니다.
주원료
프리미엄 시리얼, 식물성단백질, 콩가루, 식물유, 어유, 연체동물 및 갑각류, 조류, 마늘, 비타민 프리믹스
보증성분
조단백질 37.14%, 조지방 1.93%, 조섬유 1.15%, 조회분 6.68%, 칼슘 0.83%, 인 0.92%, 수분 7.6%
그로비타 혼 사료
앞 서 소개한 먹이보다 크기가 제법 되는 먹이입니다. 알맹이 형태로 되어 있으며 물 위에 뜨는 부상성 사료입니다. 수용성 단백질, 비타민, 혼합제 등 최적의 배합 비율로 배합한 사료이며 소화 흡수율이 높고 물에 가라앉지 않으니 수질오염이 적습니다. 다만 혈앵무들이 미쳐 못 보고 먹지 못한 먹이는 여과기 물살에 밀려 구석으로 가거나 히터 틈새에 끼어버립니다.
주원료
크릴새우어분, 오징어어분, 동물성단백질가수분해물, 크릴새우 가수분해농축물, 비타민 제합제
보증성분
조단백 50.0%, 조회분 12.0%, 조지방 5.0%, 조섬유 4.0%, 수분 14.0%, 인 1.80%, 칼슘 1.0%
히카리 싱킹 카니발
제가 가지고 있는 먹이 중 벽면에 붙이는 먹이를 제외하고 가장 큰 먹이입니다. 이 먹이는 오로지 혈앵무와 시클리드를 위해 구매했습니다. 한입에 들어가는 사이즈라서요. 이와 비슷한 먹이가 그로비타에서도 나오나, 이 먹이는 물에서 바로 가라앉습니다. 수족관 사장님 추천으로 처음으로 사봤는데 역시나 혈앵무들이 가장 좋아하는 먹이네요. 서로 달려들어 먹습니다. 그리고 혈앵무 점프훈련도 이 먹이로 하고 있습니다. 다만 물속에서 금방 분진이 일어나는 편이어서 여과기 사이에 안 끼게끔 주의가 필요합니다.
주원료
어분, 크릴박, 맥주건조효모, 대두분, 밑전분, 어유, 감자전분, 크릴분, 스피루리나, 마늘
보증성분
조단백 47.0%, 조지방 5.0%, 조섬유 3.0%, 조회분 17.0%, 칼슘 1.0%, 인 2.1%, 수분 14.0%
먹이는 다양하게 줘야 한다?
네 맞습니다.
키우는 관상어에게 먹이는 다양하게 줘야 합니다. 사람도 한 가지 음식만 먹으면 안 되는 것처럼 먹이마다 물고기 특성에 맞게 발색이 잘 올라오거나 병에 걸리지 않게끔 면역을 주는 성분을 포함하는 등 다양하게 주어야 합니다.
사료 양에 대해서는 키우고 있는 물고기 종류와 개체 수에 따라 정해집니다. 사실 하루에 한 번만 줘도 물고기는 죽지 않습니다. 오히려 과도 하게 줘서 물 오염 시키는 것보다 낫다는 말이 있을 정도니까요. 한번 주실 때 평균적으로 나와 있는 1~3분 안에 먹을 수 있는 양을 저도 따르는 편입니다. 다만 애들이 그날따라 워낙 잘 먹고 환수가 코앞이라면 좀 더 많이 주는 편입니다.
관상어들이 못 보고 분비물로 남지 않게끔만 주시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특히 수초항에서는 수초사이에 끼는 작은 먹이들이 많습니다. 너무 많이 끼지만 않는다면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는 게 수초항하면 새우를 같이 키우실 테니 새우들이 찾아서 다 먹습니다. 새우를 키운다는 가정하에 말입니다.
이상 열대어 사료와 혈앵무 먹이를 소개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물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항 청소용품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4.01.13 |
---|---|
어항 물잡이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4.01.13 |
혈앵무의 검은 점 스트레스 다시 생긴이유 (1) | 2024.01.02 |
혈앵무 먹이 훈련 - 점프하는 물고기! (1) | 2023.12.30 |
혈앵무 몸에 검은 점이 생기는 이유 + 치료 방법 (2) | 2023.12.27 |